📌 안전보건 주요 공지
1. 안전보건 뉴스레터가 개편되었습니다.
마케팅&디자인 그룹에서 템플릿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알찬 내용으로 채우겠습니다. - 안전보건실 - |
|
|
01월 09일 : 안전보건 경영책임자 반기 보고
01월 18일 ~ 01월 20일 : 사업장 순회 점검
01월 25일 ~ 01월 31일 : 안전보건협의체 진행 |
|
|
2022년 12월 16일, 사내 안전보건 협의체인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는 참석위원 만장일치로 '바로고 안전보건 포상제도'를 신설하였습니다. 반기에 한 번, 안전보건에 관련하여 공적이 인정되는 바로고 근로자 및 종사자에 대해 심의를 거쳐 선정하고 포상하는 제도입니다. |
|
|
안전보건 공적이 무엇인가요?
제정된 '바로고 안전보건 포상규정'을 살펴보면 4가지의 지급대상 선정기준이 있습니다. -바로고 안전보건 포상규정 제3장 포상금 지급 제6조(지급대상 등)-
- 산업재해예방 활동에 공적이 현저한 경우
- 안전보건목표 달성실적이 우수한 경우
- 연간 안전보건경영 활동이 우수한 경우
- 기타 바로고의 안전보건관리업무에 뚜렷한 공적이 있는 경우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활동과 그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가 대표적인데 그 중 두 가지는 누구나 참여하거나 실천하기 쉬운 것입니다.
안전보건 Notion, 본 뉴스레터의 하단을 보면 임직원 누구라도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제안을 할 수 있는 채널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총 4분이 좋은 의견을 주셔서 그중 안전보건에 해당하는 3건에 대해 개선조치가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비록 물건이나 재산상의 손해가 있더라도 다칠 뻔한 사고를 '아차사고(Near miss)'라 하는데 이러한 사고의 사례를 모아 개선하고 조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합니다. 이렇게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
|
|
두번째, '교육 참여'입니다.
관계법령상 매 분기 실시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과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교육이 있습니다. 올해는 AED(자동심장 충격기)를 도입하게 되어 '심폐소생술 교육'이 분기 1회 총 4번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교육이 있을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는 바로고 안전보건 경영방침인 '안전보건의식 고취와 실천능력 배양'과 부합합니다.
이러한 작은 참여로 우리 회사가 더 안전하고 건강해지고 이는 공적이 됩니다. |
|
|
** 최우수상의 경우 바로고 인사관리 규정이 정하는바에 따라 '표창'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
|
|
포상의 절차
안전보건실에서는 6개월 동안 발굴한 포상대상자에 대해 다음 분기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 포상의결을 요청하게 되고,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포상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
|
|
마치며
2022년 한해 동안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사업장을 깔끔히 정리하고 유해 · 위험요소를 제안하고, 위급한 동료를 도와준 많은 바로고 가족분들이 있었습니다.
모두 인정받고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늦었지만 이런 분들을 응원하고 인정하는 제도를 만들어 더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가 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신 모든 바로고 가족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안전하고 건강하세요.~
-안전보건실 드림-
|
|
|
겨울철 운행 중 교통사고 예방
교통사고는 기후변화를 비롯해 차량의 상태, 사람의 불안전한 행동 등 다양한 상황과 원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한 번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다른 사고보다 그 피해의 정도가 매우 높습니다. |
|
|
특히 겨울철 현재 포트홀, 블랙아이스 등에 따른 예측하지 못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여 사고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
|
|
아스팔트로 건설된 도로 표면 중 일부가 내려앉거나 부서져 발생한 구멍 |
도로 위에 녹았던 눈이 다시 얇은 빙판으로 얼어붙는 도로 결빙 현상 |
|
|
발생원인
① 도로 포장 품질의 불량과 다짐의 부족
② 겨울철 염화칼슘과 눈이 만나 지면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함에 따른 지반의 약화
③ 배수구조의 불량 |
발생원인
① 터널 인접부 노면의 온도 차
② 낮에 내린 눈이나 비가 아스팔트에 스며들었다가 밤에 결빙됨에 따른 얼음막 형성
③ 지열이 올라오지 않는 도로 구조 |
|
|
위험성
주행 중 충격으로 인한 타이어 손상
급하게 피하여 이동 중 주변 차량과 충돌
|
위험성
일반도로보다 14배, 눈길보다 6배 사고 위험
운전대 제어 불가로 인한 연쇄 충돌 |
|
|
예방
포트홀 발견 시 비상등 점등
규정속도보다 느리게 주행
|
예방
감속 및 앞차와의 거리 유지
해당 구간 브레이크나 핸들 조작 없이 주행 |
|
|
고속도로의 실선과 다음 실선 전의 여백까지 합치면 약 20m |
|
|
고속도로에서 100km/h로 주행 중이라면 안전거리는 100m
실선과 여백을 1묶음으로 가정하여 5묶음을 두면 약 100m의 안전거리 확보 가능 |
|
|
① 운전 중 휴대폰 사용하지 않기
② 교차로 우회전 시 보행자 살피기
③ 골목 운전 시 서행 및 전방 시야 확인하기
④ 주거지 주변 도로에서 30km/h 이내 서행하기
⑤ 야간 운전 시 어린이, 노약자, 취객 등 주의하기
|
① 보도가 없는 도로에서 길 가장자리로 걷기
② 반드시 횡단보도 이용하기
③ 도로에서 갑자기 멈추거나 뒤돌아서지 않기
④ 이동 중 휴대폰 사용 자제하기
⑤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 밝은색 옷 입기
|
|
|
재해개요
포항 소재 대규모 제조 사업장 내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던 근로자가 협력업체 소속 차량인 덤프트럭과 부딪힌 뒤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사망한 재해 |
|
|
재해원인
① 차량 운행 중 전방 시야 미확보 및 부주의
② 사업장 내 통행로 구획 미흡 및 운행 중 안전거리 미확보 |
|
|
안전대책
① 차량, 자전거 간 이동통로 구획
② 운행 전 전·후방 시야 및 운행 중 안전거리 확보
③ 사업장 내 운행 시 비상등 상시 점등 |
|
|
겨울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몸의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심장에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해 심뇌혈관질환을 주의해야합니다. |
|
|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이 죽어 사망에 이르는 질환
* 주요 위험인자 :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
* 혈전 : 혈관 속에 피가 굳어 생긴 덩어리 |
|
|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서(뇌출혈) 신체장애 또는 사망에 이르는 질환
* 주요 위험인자 :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 |
|
|
심뇌혈관질환은 생활습관과 건강검진, 적절한 치료 등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든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전조증상을 미리 인지하여 효과적인 대처를 통해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통계청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2위가 심장질환입니다.
심장질환은 갑자기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으로 심정지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만약, 심정지가 일어났다면 4분이내로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심폐소생술(CPR)
- 정지된 심장을 대신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해주는 응급처치법
- 흉부압박, 인공호흡 등의 과정을 통해 인공적으로 호흡을 유지하고 혈액을 순환 |
|
|
- 구글에 메트로놈을 검색하여 110BPM으로 설정 후 소리에 맞춰 압박
- 평소 듣는 BPM100~120 노래를 생각하며 박자에 맞춰 압박
|
|
|
응급상황 발생 시 모두가 사용할 수 있게 1월 중에 바로고 본사 1층에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설치될 예정입니다.
또한, 원활한 사용을 위해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며, 나와 타인의 안전과 사고예방을 위해 많은 참여부탁드립니다. |
|
|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바로고를 위해 소중한 의견을 전해주세요.
|
|
|
대표자 : 이태권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34길 32
안전보건실 : 02.550.9990
© 2022 Barogo. All rights reserved. |
|
|
|